This website is an archival work of Ji hyung Song's, designed to combine ‘spattered words’ that have long been of artist's interest.

이 웹사이트는 송지형 작가의 아카이빙 작업으로 오랫동안 관심 가져온 흩어진 낱말들을 한데 묶고자 고안해 내었다.




My Lexicon: 12 words are listed in Korean, German, and English. These 12 words are keywords for Ji hyung Song's work, consisting of intermingled words with related features and words that do not match. You can view the text and video corresponding to each word by clicking them.
나만의 렉시콘: 12개의 단어들이 한국어, 독일어, 영어로 나열되어있다. 이 12개의 단어들은 송지형 작업의 핵심 키워드들로 서로 성격이 연결되는 교집합적인 단어들과 서로가 어울리지 않는 단어들로 구성되어있다. 각 단어를 클릭하면 단어에 해당하는 글과 영상을 관람할 수 있다.  


Questionnaire: Social limbo can be described as ‘Socially in a midpoint state' meaning an uncertain or undecided state. Considering the early stages of anthropological fieldwork as a form of "Social Limbo," the research process starts with deciding a place to live and learning how the locals greet others on a day-to-day basis. ¹
설문지: Social Limbo는 사회적 중간상태라는 뜻으로 불확실하고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인류학 현지조사(field work)의 시작단계를 일종의 Social Limbo 상태로 보고, 주거지를 정하고 현지의 일상적 인사법 배우기 등으로 연구를 시작한다.¹


Interview: In anthropology, interviews are essential in connecting culture with informants for the fieldworkers. Interviews are not isolated events but part of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process; they are encounters with each individual, subject to observation in various contexts. ² For example, Ji hyung Song, who became a fieldworker, obtained their life and culture through interviews with various informants. The collected life history of the informant and multiple observations were recorded as a video.
인터뷰: 인류학에서 인터뷰는 현지조사자에게 정보제공자(Informant)와 문화를 연결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터뷰는 고립된 사건이 아닌 참여관찰 과정의 일부분이며, 다양한 맥락에서 관찰의 대상이된 바 있는 한 개인과의 만남이다.² 현지조사자가 된 송지형은 다양한 정보제공자(Informant)들을 통해 그들의 삶과 문화를 인터뷰를 통해 얻게 되었다. 정보제공자(Informant)의 수집된 생애사(life history)와 관찰되어진 것들은 영상으로 기록되어졌다.




This work is to be continuously archived by the artist.
이 작업은 작가에 의해 지속적으로 쌓일 예정이다.






¹ ² Refer to Kim Min-jung, fieldwork method of cultural anthropology and participant observation, p206

¹ ² 김민정,  문화인류학의 현지조사(fieldwork) 방법과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p206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