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tual care
상호돌봄






I lived in a flatshare in Düsseldorf, where three tenants lived together. In Germany, this is called a 'three-person flatshare.' And in Germany, most people leave the nest around 20. Many of these young people become independent in flatshares. Therefore, Germany has developed and established various residential community cultures, such as share houses.
Six of my friends have moved in and out of our house over eight years of living there. Jinju and Krissy were the friends who resided the longest among them. Jinju moved into this house two months after I moved in, and Krissy moved in as a friend of Jinju. We lived together for about 6-7 years, so we spent all our 20s together and matured. My flatmates were like family to me after ten years of living alone and without any relatives in Germany. They called to check if I was safe when I was out late and took care of me when I was sick. So my flatmates have been my friend, guardian, and family.
The experience of strangers becoming a family gave me a comprehensive view of this world.
   나는  뒤셀도르프 집에서 주거공동체에서 살았는데 3명이서 함께 사는 집이였다. 독일에서는 이를 3명 주거공동체라고 한다. 독일에서는 만 20세 전후로 대부분 부모님의 집에서 독립을 한다. 이 중에 상당수의 청년들은 주거공동체로 독립을 하게 된다. 그래서 독일은 쉐어하우스 등의 다양한 주거공동체 문화가 발달해있고 자리 잡혀있다. 
   이 집에서 8년동안 살면서 총 6명의 친구들이 내가 사는 동안 우리집을 거쳐갔다. 진주와 크리시는 이 중에 가장 오랫동안 함께 살았던 친구들이다. 진주와는 두 달 상간으로 이 집에 같이 들어오게 되었고 크리시는 진주의 친구로서 우리집에 이사를 오게되었다. 우리는 6-7년을 함께 살았고 20대의 시절을 함께 거주하고 성장하였다. 가족없이 홀로 독일에서 10년을 살면서 나의 하우스메이트들은 나의 또 다른 가족이 되어주었다. 내가 혹여 집에 늦게 들어오는 날에는 아무일이 없는지 연락해주고, 아픈날에는 나를 돌봐주었다. 나의 하우스메이트들은 내 친구이자 보호자 또는 가족이 되어주었다.
낯선사람이 가족이 될 수 있다는 경험은 나에게 세상을 다르게 볼 수 있게 하는 확장을 선사했다.










Produced by Ji hyung Song
Copyrights 2022. Ji hyung So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