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터
Site: Existed in the past but is no longer,
Anthropological research on The Gift Theory and reciprocity is concentrated around Western society. Feeling on a downer and curious regarding this matter, I began to study traditional Korean reciprocity and solidarity spaces. In particular, I had a keen interest in spaces where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including women, gather to take care of each other.
Although there are only a few research cases on historical reciprocal spaces in South Korea, I discovered a few that convey the country's essence and heart. One is ‘Ppallaeteo’ (traditional Korean wash place), which is also very meaningful as a historical monument.
Unfortunately, ‘Ppallaeteo’ has widely disappeared in modern society. When they were actively operated, they served as a shelter for women to escape from their hard daily lives and a reciprocal living space of mutual care. Currently, there are ‘Ppallaeteo’ still operating in Chilgok-gun, Gyeongsangbuk-do, and Damyang-gun, Jeolla-do in South Korea. In addition, a communal laundry facility for duvets was built in Munwon-dong, Gwacheon-si, Gyeonggi-do in an effort to foster a new community that is filled with conversations and unity.
I visited the currently remaining ‘Ppallaeteo’ in South Korea to record and interview women to document historically significant sources.
Anthropological research on The Gift Theory and reciprocity is concentrated around Western society. Feeling on a downer and curious regarding this matter, I began to study traditional Korean reciprocity and solidarity spaces. In particular, I had a keen interest in spaces where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including women, gather to take care of each other.
Although there are only a few research cases on historical reciprocal spaces in South Korea, I discovered a few that convey the country's essence and heart. One is ‘Ppallaeteo’ (traditional Korean wash place), which is also very meaningful as a historical monument.
Unfortunately, ‘Ppallaeteo’ has widely disappeared in modern society. When they were actively operated, they served as a shelter for women to escape from their hard daily lives and a reciprocal living space of mutual care. Currently, there are ‘Ppallaeteo’ still operating in Chilgok-gun, Gyeongsangbuk-do, and Damyang-gun, Jeolla-do in South Korea. In addition, a communal laundry facility for duvets was built in Munwon-dong, Gwacheon-si, Gyeonggi-do in an effort to foster a new community that is filled with conversations and unity.
I visited the currently remaining ‘Ppallaeteo’ in South Korea to record and interview women to document historically significant sources.
터 ; 과거 존재했던, 지금은 사라진,
증여(선물)론 The Gift theory, 호혜성(reciprocity)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는 서구 사회 중심으로 집적되어 있다. 나는 이에 대해 아쉬움과 궁금증을 느끼어 한국의 전통적 호혜와 연대 공간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여성들 혹은 역사적 사회 약자 계층들이 모여 서로를 보살피고 돌보는 장소성에 대한 지극한 관심이 생겼다.
한국의 역사적 호혜 공간 사례 자료는 적은 편이 였으나 한국만이 갖고 있는 얼과 정을 갖고 있는 몇몇 호혜 공간들을 발견 할 수 있었다. 그 중 하나가 역사적 사료로도 크게 의미가 있는 빨래터 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자취를 감춘 빨래터는 아낙네들이 고단한 삶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자유의 쉼터 였으며, 생활 공간이자 서로를 보듬어 주고 돌봐주는 호혜의 공간이자 생활 터전이였다. 현재 이 빨래터는 대한민국에 경상북도 칠곡군 , 전라도 담양 등 몇 군데가 남아 있다. 또한 경기 과천시 문원동에는 주민들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이불 빨래방을 만듬으로써 새로운 마을공동체의 소통과 화합장을 만드는 시도도 하였다.
증여(선물)론 The Gift theory, 호혜성(reciprocity)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는 서구 사회 중심으로 집적되어 있다. 나는 이에 대해 아쉬움과 궁금증을 느끼어 한국의 전통적 호혜와 연대 공간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여성들 혹은 역사적 사회 약자 계층들이 모여 서로를 보살피고 돌보는 장소성에 대한 지극한 관심이 생겼다.
한국의 역사적 호혜 공간 사례 자료는 적은 편이 였으나 한국만이 갖고 있는 얼과 정을 갖고 있는 몇몇 호혜 공간들을 발견 할 수 있었다. 그 중 하나가 역사적 사료로도 크게 의미가 있는 빨래터 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자취를 감춘 빨래터는 아낙네들이 고단한 삶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자유의 쉼터 였으며, 생활 공간이자 서로를 보듬어 주고 돌봐주는 호혜의 공간이자 생활 터전이였다. 현재 이 빨래터는 대한민국에 경상북도 칠곡군 , 전라도 담양 등 몇 군데가 남아 있다. 또한 경기 과천시 문원동에는 주민들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이불 빨래방을 만듬으로써 새로운 마을공동체의 소통과 화합장을 만드는 시도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