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eral


The term ‘relationless society,’ which describes a society in which interpersonal ties are deteriorating, no longer feels foreign in our lives. The worst-case-scenario that can occur in a relationless society are solitary death and unclaimed death. There are some distinctions between unclaimed death and solitary death. The case of local governments being forced to dispose of the body because there are no relatives or families to take over the body is called an unclaimed death. If the family takes over the deceased's body, it is classified as solitary death. In other words, cases of dying alone in isolation are classified as solitary death. Still, the classification of unclaimed death or solitary death depends on whether the body is handed over to the family or not. What solitary death and unclaimed death have in common is that social isolation has progressed considerably until the death of the deceased and that close neighbors usually find bodies.
What is recognized as a particular social problem in Korea is solitary death in youth. According to the data surveyed by the Seoul Welfare Foundation, 102 people in their 20s and 226 people in their 30s accounted for about 14.0% of the estimated 2,343 cases of solitary death in Seoul, 2013 (Song In-ju, 2016; Noh Hye-jin, extracted from Social Relations of Single Youth Households). This problem of solitary death and unclaimed death begins with the dissolution of the community and the absence of neighborliness. Communities are formed by giving and receiving care, which is called mutual care. According to ‘The Care Manifesto,’ the start of mutual care is to look after our close neighbors, see if they are sick, check if they have spare keys (for overseas cases), help them water plants, and feed their pets. In other words, good neighborliness is a core of 'mutual care' and community.
The care collective, the care manifesto, 2020
Noh Hye-jin, Social Relations of Single Youth Households, 2018,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Song In-ju. (2016). A Study on the Status of Solitude and Support in Seoul. Seoul: Seoul Welfare Foundation
What is recognized as a particular social problem in Korea is solitary death in youth. According to the data surveyed by the Seoul Welfare Foundation, 102 people in their 20s and 226 people in their 30s accounted for about 14.0% of the estimated 2,343 cases of solitary death in Seoul, 2013 (Song In-ju, 2016; Noh Hye-jin, extracted from Social Relations of Single Youth Households). This problem of solitary death and unclaimed death begins with the dissolution of the community and the absence of neighborliness. Communities are formed by giving and receiving care, which is called mutual care. According to ‘The Care Manifesto,’ the start of mutual care is to look after our close neighbors, see if they are sick, check if they have spare keys (for overseas cases), help them water plants, and feed their pets. In other words, good neighborliness is a core of 'mutual care' and community.
The care collective, the care manifesto, 2020
Noh Hye-jin, Social Relations of Single Youth Households, 2018,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Song In-ju. (2016). A Study on the Status of Solitude and Support in Seoul. Seoul: Seoul Welfare Foundation
인간 관계가 약해져 가는 사회를 지칭하는 무연사회라는 단어는 이제 우리 삶에서 더이상 낯선 단어가 아니다. 무연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극단적인 결과가 고독사, 무연사라고 할 수 있다.
고독사와 무연고사는 약간의 다른 의미 차이를 갖고 있다. 연고자가 아예 없거나 가족이 시신 인수를 거부해서 지자체가 시신을 처리하는 경우를 무연고사로 , 가족이 고인의 시신을 인계받은 경우 고독사라고 분류한다. 즉 고립되어 홀로 사망한 경우를 고독사라고 아우르나 시신의 가족 인도 여부에 따라서 무연사 또는 고독사로 분류 되는 것이다. 고독사와 무연사의 공통점은 고인이 사망당시 까지 사회적 고립이 꽤 진행 되었다는 것과 가까운 이웃등에 의해 시신이 발견된다는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특히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것은 청년 고독사이다. 서울시복지재단이 조사한 자료를 보면, 2013년 서울시의 고독사 추정 사례 총 2,343명 중 20대가 102명, 30대가 226명 으로 약 14.0%를 차지하고 있다(송인주, 2016; 노혜진, 청년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에서 발췌).
이러한 고독사, 무연사 문제는 공동체의 해체, 선린의식의 부재에서 시작된다. 공동체-커뮤니티는 돌봄의 주고 받음으로 구성이 되는데 이를 상호돌봄의 형태라고 한다. The care manifesto에 따르면 상호 돌봄의 시작은 우리 가까운 이웃을 돌보는 것으로 그들이 아픈지 보는것, 여분의 키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해외 사례에 해당), 식물에 물 주는 것을 도와주는 것, 애완동물의 먹이를 주는 것을 돌봐주는 것 등이 라고 한다. 즉 선린의식은 상호 돌봄과 공동체의 핵심이라고 하겠다.
The care collective, the care manifesto, 2020
노혜진, 청년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2018, 보건사회연구
송인주. (2016). 서울시 고독사 실태파악 및 지원방안 연구. 서울: 서울시복지재단.
고독사와 무연고사는 약간의 다른 의미 차이를 갖고 있다. 연고자가 아예 없거나 가족이 시신 인수를 거부해서 지자체가 시신을 처리하는 경우를 무연고사로 , 가족이 고인의 시신을 인계받은 경우 고독사라고 분류한다. 즉 고립되어 홀로 사망한 경우를 고독사라고 아우르나 시신의 가족 인도 여부에 따라서 무연사 또는 고독사로 분류 되는 것이다. 고독사와 무연사의 공통점은 고인이 사망당시 까지 사회적 고립이 꽤 진행 되었다는 것과 가까운 이웃등에 의해 시신이 발견된다는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특히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것은 청년 고독사이다. 서울시복지재단이 조사한 자료를 보면, 2013년 서울시의 고독사 추정 사례 총 2,343명 중 20대가 102명, 30대가 226명 으로 약 14.0%를 차지하고 있다(송인주, 2016; 노혜진, 청년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에서 발췌).
이러한 고독사, 무연사 문제는 공동체의 해체, 선린의식의 부재에서 시작된다. 공동체-커뮤니티는 돌봄의 주고 받음으로 구성이 되는데 이를 상호돌봄의 형태라고 한다. The care manifesto에 따르면 상호 돌봄의 시작은 우리 가까운 이웃을 돌보는 것으로 그들이 아픈지 보는것, 여분의 키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해외 사례에 해당), 식물에 물 주는 것을 도와주는 것, 애완동물의 먹이를 주는 것을 돌봐주는 것 등이 라고 한다. 즉 선린의식은 상호 돌봄과 공동체의 핵심이라고 하겠다.
The care collective, the care manifesto, 2020
노혜진, 청년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2018, 보건사회연구
송인주. (2016). 서울시 고독사 실태파악 및 지원방안 연구. 서울: 서울시복지재단.